초등교육 / / 2024. 6. 12. 09:00

[메타인지학습] 불안은 어떻게 학습되는가?

반응형

메타인지 문제는 결과를 무분별하게 낙관하는 탓에 생기기도 하지만 반대로 결과에 지나치게 신경을 쓰다가 발생하기도 한다. 불필요한 생각이 불안도를 높이고 집중도를 낮추는 것이다.

부모의 불안이 아이의 불안이 된다

한 실험자가 미국 초등학교에서 저학년을 담당하는 여자 담임교사들을 대상으로 재미있는 연구를 진행했다. 본격적인 실험에 앞서 실험자는 이들에게 수학에 대해 불안을 느끼는 정도를 체크하게 했다. 그리고 첫 학기 시작 전, 이 교사들이 맡고 있는 각 반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수학 불안도'를 측정했다. 1년 후 같은 아이들을 대상으로 이 불안도를 재차 측정했는데 그 결과 수학에 대한 불안이 높은 선생님에게서 배운 아이들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보다 더 높은 불안도를 보였다.

 모두의 예상대로 남자아이들보다 여자아이들의 불안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여자아이들은 '나는 타고난 수학 실력이 없다'는 강한 믿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남자아이들과 비교했을 때 수학 수행평가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기록했음은 물론이다. 여자아이들이 고정관념의 위험을 받은 결과다.

 부모들을 대상으로 이뤄진 다른 실험을 보자. 이 실험에서는 수학에 대한 아이의 불안에 부모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12년 동안 조사했다. 부모들의 수학 불안도를 측정한 후 그 자녀들을 초등 3학년까지 관찰한 결과, 수학에 대한 불안감이 지속적으로 높은 부모의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부모의 아이들보다 수학을 못하는것으로 나타났다. 그 아이들의 수학 실력은 평균보다 반년 정도 뒤쳐져 있었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사실이 하나 있다. 수학에 대한 불안이 높은 부모가 적극적으로 아이의 학습을 지도할 경우 아이의 불안도가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의 도움 없이 혼자 공부했던 아이들은 이와 같은 현상을 보이지 않았다. 부모의 불안이 아이에게 고스란히 학습되는 것이다.

 이런 연구 결과를 알게 된 후 나는 쓸데없는 걱정과 불안한 감정을 조절하고 특히 아이들 앞에선 이런 모습을 보이지 않기 위해 노력했다. 성격이 급하고 긴장도가 높은 사람이라 결코 쉬운 일은 아니었으나 아이들 앞에서 여유 있는 모습을 보이기 위해 의식적, 의지적으로 많은 애를 썼다.

 하지만 평생 긴장하지 않고 사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나는 다른 결심을 했다. 먼저 나의 불안 요소를 파악하고 피할 수 없다면 그것에 도전해보기로 한 것이다.

 

[메타인지학습] 불안은 어떻게 학습되는가

부모 자신의 불안부터 살펴보기

 딸 세린이가 초등학교에 입할할 때의 일이다. 딸아이는 미국에서 태어났지만 영어가 매우 서툴렀다. 부모가 어울리는 사람이 주로 한국인들이었기 때문이다. 초등학교에 입학할 당시 미국 아이들과 함꼐 생활해야 하는 세린이는 매일같이 긴장한 상태에서 등교를 했고 나 역시 아이가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할까봐 두려웠다. 언어뿐 아니라 자라온 문화와 환경이 달랐기에 더욱 그랬을 것이다.

 어린 시절부터 나는 말과 정서가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에 많은 불편함을 느꼈다. 그런데 어느 순간 이런 내 모습이 아이에겐 '엄마는 자신과 다르게 생긴 사람들(타 민족)을 불편해한다'는 것으로 비칠 수 있음을 깨달았다. 다소 편향적으로 사람을 만나는 엄마의 모습을 보며 성장한 세린이가 나처럼 다른 민족과의 만남을 피하고 소극적인 인간관계를 이어나갈까 봐 걱정스러워지기 시작했다.

 고민 끝에 나는 엄마인 나의 행동을 바꾸기로 결심했다. 아이의 학교에서 걸스카우트 활동을 시작한 것이다. 솔직히 나는 그 활동을 하고 싶은 마음이 전혀 없었다. 여러 활동에 참여하는 적극적인 다른 학부모들은 물론 교장 선생님과의 미팅이 심적으로 버거웠고 대학에서 연구와 학생들 지도를 겸하고 있었기에 시간적 여유도 없었다. 그럼에도 나는 세린이가 초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걸스카우트 리더를 맡았다. 그 과정에서 나는 지금껏 만나보지 못한 다른 나라 친구들을 많이 사귀었고 세린이도 여러 친구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법을 배웠다.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누구라도 예외 없이 자신의 불안 요소가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나의 어떤 불안을 아이들이 보고 있는지, 혹시 아이들이 그것을 학습하고 있지는 않은지 유심히 관찰해야 한다. 그리고 자신을 잠식하는 불안에서 벗어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해야 한다.

 이는 아이뿐 아니라 부모 자신의 불안과 긴장을 해소하느 데 아주 좋은 방법이다. 남들보다 자신의 불안도가 높다고 생각된다면 지금이라도 그 불안 요소를 파악해보자.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