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메타인지13 [초등메타인지학습] 조급함에 대처하는 부모의 자세 헛된 노력을 하지 않으려면 현실과 목표 사이에서 균형을 찾으려면 아이와 부모 모두 현실을 제대로 직시하는 메타인지 판단을 해야 한다. 특히 아아들은 자신의 수준을 제대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말은 쉽게 하지만 아이들이 자신의 수준을 파악하는 것은 정말 힘든 일이다. 선행 학습에 익숙한 아이들은 자신의 실제 실력보다 자신의 수준을 높다고 착각하기 때문이다. 자신에게 맞는 수준을 찾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증명한 다음의 실험을 보자. 심리학자 앳킨슨 Atkinson은 피험자들에게 '쉽다' '보통이다' '어렵다' 등 세 가지 난이도로 분류할 수 있는 단어들을 제시한 후 암기하게 했다. 그 후 피험자를 A, B 두 개 그룹으로 나누어 다시 공부할 기회를 주었다. 단, A그룹에게는 스스로 단어의 난이도를 .. 2024. 6. 28. [초등메타인지학습] 당신은 아이의 선택을 믿습니까? 한국의 현실적인 학습 환경을 무시하고 아이들이 자신의 속도대로 공부하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는 나도 잘 안다. 아이가 뒤처지거나 낙오될지도 모른다는 부모의 불안감도 익히 알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아이의 행복을 먼저 생각해야 하는 부모다. 지금이라도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아이마다 특성이 다르고 각자 처한 학습 환경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모두에게 통하는 방안을 제안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분명히 말할 수 있는 것은 하나 있다. 아이들은 누구라도 자신에게 맞는 학습 방식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이가 학습 과정에서 실수를 하거나 힘들어해도 혼자 결정할 수 있도록 부모는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줘야 한다. 생선살을 직접 발라 입에 넣어주기보다는 아이 스스로 낚시를 하고 .. 2024. 6. 27. [초등메타인지학습] '얼마나 잊어비릴 것인가'를 질문하라 당신의 아이가 스케이트를 배운다고 가정해 보자. 아이는 지금 빙판 위에 제대로 서는 것도 힘겨워한다. 이때 아이에게 어떻게 이야기해 줄 것인가? 아마 대부분의 부모가 다음과 같이 말하지 않을까?"스케이트를 하루아침에 잘 탈 수는 없어. 제대로 타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 많은 연습을 해야 한단다." 이런 대답이 가능한 이유는 부모가 아이를 스케이트 선수로 키우려고 마음먹지 않았기 때문이다. 단순히 취미로 배우는 운동이니 속도가 느리거나 실수가 많아도 괜찮다고 여기는 것이다. 공부도 스포츠와 똑같은 '학습'이다. 스케이트를 배울 때와 같이 오랜 시간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그런데 같은 학습임에도 유독 공부에서의 실수를 견디기 힘들어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앞선 실험에서 우리는 학습 과정에서 더 많은 실수를.. 2024. 6. 23. [초등메타인지학습] 아이의 언어 능력은 무한하다 한국 아이들은 초등학교 시절부터 대학 졸업까지 거의 20여 년 동안 영어를 공부하지만 영어로 말하는 것을 부끄러워하는 학생들은 여전히 많다. 시험에 출제되는 문법 위주로만 공부한 결과다. 한국의 교육 문화는 회화를 통해 실전 영어를 익힐 수 있는 기회, '말하는 것을 학습할 기회'를 아이들에게 주지 않는다. 오죽하면 아이들이 '학교가 아닌 미드를 통해 회화를 배웠다'라고 말하겠는가. 언젠가 방탄소년단의 한 멤버도 인터뷰에서 미국의 TV시트콤인 '프렌즈 Friends'를 보며 영어를 배웠다고 이야기했는데, 아마도 이렇게 말하는 사람들은 영상물만을 익혔을 확률이 높다. 단지 영상물을 보는 것만으로는 '회상 연습'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는 힘 미국에서는 바나나를 '버내너'라고 발음한다. .. 2024. 6. 22. [초등메타인지학습] 기계도 메타인지가 있을까? 앞에서 '천재는 시행착오를 겪지 않기 때문에 메타인지를 키우기 어렵다'라고 이야기한 바 있는데, 같은 이유로 메타인지를 키우지 못하는 존재가 또 하나 있다. 바로 기계다. 가령 친구에게 전화를 해야 하는데 핸드폰이 작동하지 않으면 우리를 답답하며 짜증을 낸다 너무 화가 나면 핸드폰을 던져버리기도 한다. '기계는 실수하지 않는다'는 믿음이 깨져버린 것에 대한 화풀이다. 많은 부모가 오지 않은 내일의 행복을 위해 아이들이 오늘을 희생하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아이들이 학교와 학원 숙제에 짓눌리고 성적에 쫓겨도 내일의 행복을 위해 참아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그런데 지금 행복하지 않은 아이가 커서 행복할 수 있을까? 행복이라는 감정 자체를 느껴본 적 없는 아이가 성인이 된들 무엇으로 행복감을 느낄 수 있을까.. 2024. 6. 21. [초등메타인지학습] 좋은 성취가 좋은 머리를 이긴다 자신의 꿈을 찾는다는 게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어떤 엄마가 될지 어떤 선생님이 될지는 오로지 내가 결정할 몫이었고 그건 무척이나 어려운 일이었다. 특히 어떤 엄마가 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지금도 매일 고민 중이다. '엄마'라는 전공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기에 배우는 것이 참 어렵다. 그럼에도 나는 비교적 행운아라 할 수 있다. 대학교에 '엄마'라는 전공은 없었지만 대신 심리학을 전공하며 많은 연구를 접할 수 있었고, 여러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 아이들의 발달 과정을 유심히 지켜볼 수 있었다. 이 과정은 '어떤 엄마가 될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얻게 해 주었다. 특히 메타인지를 공부하면서 나는 몇 가지 중요한 깨달음을 얻었다. 그중 하나는 아이의 성격과 성향에 따라 학습 방법을 제시해도 우리.. 2024. 6. 20. 이전 1 2 3 다음